설치순서
[1단계] LAN 선을 뽑는다.
[2단계] 바이오스 설정
[3단계] Windows 설치
[4단계] 서비스팩 및 보안프로그램 설치
[5단계] 응용 프로그램 설치
결론부터 말한다면 Windosw XP 는 설치 도중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을수 있다. 최근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케이블 모뎀이나 ADSL, 광랜등 외장형 모뎀을 쓰는 제품들은 윈도우 상에서 별도의 세팅 없이도 LAN 선을 연결하기만 해도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다. 윈도우 프로그램이 처음 개발 된후 여러 해킹 툴과 바이러스의 공격대상이었다. 그러한 공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가지 보안 프로그램이 개발 되었지만 처음 설치하는 윈도우 프로그램은 그러한 보안 프로그램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도중에 해킹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LAN 선을 뽑고 설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처음 전원을 켜고 윈도우 화면이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부팅되는 과정이 컴퓨터의 어딘가에 설치 되어 있다. 이때 어디에 설치된 부팅 과정을 이용할 것인지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즈는 C:에 설치 되어 있으므로 부팅되는 순서도 C:인 하드디스크가 먼저 실행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윈도우를 재 설치 하기 위해서는 CD로 설치해야 하므로 CD로 부팅될수 있도록 만들어 줘야 한다.
이 때 CD로 부팅될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곳을 바이오스라고 하고 이러한 설정과정을 CMOS BIOS SETUP 이라고 한다.
컴퓨터 전원을 켜고 검은 화면에 하얀글자가 나오기 시작하면 DEL 키를 누른다.
피닉스 바이오스 : F1 또는 F2 (주로 삼성 컴퓨터) 어워드, 아미 바이오스 : DEL (가장 흔한 경우) DELL 바이오스 : F12 |
① award bios - BIOS FEATURES SETUP를 선택
② Ami Bios - Advanced CMOS Setup를 클릭
Page Up 과 Page Down 키를 눌러 CDROM 이 먼저 나타나도록 설정해 준다.
>> 바이오스마다 설정방법이 다름.
2) 설정값을 바꾸었으면 F10을 눌러 Save and Exit를 한다.
윈도우 CD를 넣고 까만 화면에 <<Press Any Key to boot from CD....>> 라는 말이 나오면 엔터를 누른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 점검 |
|
구성요소 로딩 장면
설치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로딩하기 때문에 몇 분정도 소요된다. 이 부분에서 시스템이 먹통이 되었다고 생각하지 말고아래 회색줄에 그 작업들이 이루어 지는 모습들을 볼수가 있다. |
|
설치하려면 : [ Enter ] 복구하려면 :[ R ] >> 아직은 복구 시스템이 미숙하기 때문에 권하지 않는 부분임. 취소하려면 : [ F3 ] >> 실수로 설치화면으로 들어온 경우 다시 빠져나가는 키 |
|
사용권 동의 화면 어떤 프로그램이든지. 이런계약 화면은 나오게 되는데 동의를 하기 위해 F8 키를 누른다. 동의하지 않으면 윈도우도 설치할수 없음. |
|
키보드 선택 화면 기본값으로 정해진 PC/AT 101키 호환 키보드/USB키보드(종류1)을 선택한다. 확인만 하고 [ Enter ] 칩니다. 혹시 다른 키보드를 선택하게 된다면 다른 장치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종류1번을 선택하도록 한다. |
|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디스크에 u여러개의 파티션을 나누고 싶다면 여기서 설정해 주면된다. 파티션을 지우소 싶다면 지우고 싶은 곳을 선택한후 [D]를 누르고 새롭게 더 생성시키고 싶다면 [C]를 누른다. 컴퓨터에 있는 기존의 D와 E는 그대로 놔두고 C:에 윈도우를 설치할 것이므로 C:를 선택한후 엔터를 누른다. |
|
<< 왼쪽의 화면은 파티션을 분할 했을때의 화면으로 분할 하고 싶은 용량을 직접 기입하면된다.
|
|
파일 시스템에는 NTFS 와 FAT32 가 있다. 윈98이나 ME는 FAT32 로 밖에 지원이 안되며, 윈2000이나 윈XP 의 경우에는 둘다 지원가능하다. 윈도우 XP의 정확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NTFS 시스템을 선택하도록 한다. 한번이라도 포맷 한적이 있다면 빠른 포맷을 선택하면 설치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다.
|
|
설치작업을 하기 위한 복사 과정 |
|
파일 복사 과정이 끝나고 설치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구성 초기화 과정이다. 조금만 기다리면 바로 재 부팅이 된다. |
|
포멧하는 과정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맷을 진행한뒤 윈도우를 다시 설치 한다. 빠른 포맷을 선택한 경우라면 1분내에 과정이 끝나며, 포맷을 선택한 경우라면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 (하드디스크 용량에 따라 다름) |
자 재 부팅후에 비로소 실제적인 설치 과정이 진행이 된다. 이 화면이 나타나면 비로소 마우스 사용이 가능해 진다.
|
잠시 기다리다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한국어/대한민국인 것을 확인 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른다. | |
이름 : 소속 : 입력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라면 같은 이름이 중복되면 안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해킹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름과 소속을 한글로 써주면 더욱 좋다. | |
정품 윈도우xp의 씨디키를 입력 |
|
일단 컴퓨터 이름을 적는다. 처음 적었던 사용자이름과 같은 것을 넣으면 된다. 암호 입력란에 만약 암호를 넣게 되면 잊어 버렸을 경우 윈도우를 시작 할수 없기 때문에 여기서 암호를 넣지 않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XP 부팅시에 바로 부팅이 된다. |
|
현재 날짜와 시간을 확인 한 후 다음을 클릭한다. |
|
네트워크 설치 화면으로 좀더 기다리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된다. |
|
네트워크 설정은 대부분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경우라면, '일반 설정'을 선택하면 된다. 일반 설정을 사용하면 윈도우 XP가 알아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해 준다다. '사용자 지정 설정'은 네트워크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나 특별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 일반설정 선택한후 다음 클릭 |
|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적다히 입력하면 된다. 처음 입력했던 소속을 넣어주면 된다. |
|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실제 파일의 복사가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까지 선택을 완료하면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파일의 복사가 이루어진다.
파일 복사 완료 후 시작메뉴와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시작 메뉴와 구성 요소를 등록한다. |
이 과정은 모두 자동적으로 진행되므로 그냥 내버려 두면 된다.
임시 파일이 제거되고 나면 모든 설치가 완료된다.
입력해줘야 하는 것은 고작 이름과 CD 키, 네트워크 설정, 시간과 날짜 정도이다.
|
정품 윈도우xp의 씨디키를 입력 |
|
모든 설치 과정이 끝나고 최초로 윈도우 XP로 부팅을 하면, 몇가지 설정을 해줘야 한다. 가장 초기에 해줘야 할 부분이 바로 윈도우 XP에 맞는 해상도를 선택해 주는 것이다. |
|
윈도우 XP가 자동으로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를 찾아준다.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윈도우 XP에 맞는 해상도를 선택하고 나면, 확인 버튼을 누른다.
|
|
윈도우 정품 등록 화면이다. 다음을 누른다.
|
|
윈도우 XP 등록을 위해 인터넷 연결을 설정한다. 인터넷 연결을 'LAN 또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연결'을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지금 LAN 선을 빼고 설치중이기 때문에 건너뛰기를 선택한다. |
|
사용자 이름을 적는다. 하나만 입력하면 되는데 이때 컴퓨터 이름과 다르게 입력하도록 주의한다.
|
|
모든 설치 과정이 끝남. |
|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윈도우의 설치 과정은 끝나며, 바탕화면에는 휴지통만 보인다. | |
①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을 누른다. |
|
내 컴퓨터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속성을 클릭하면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윈도우 XP 설치 여부 CPU 종류 메로리 용량 을 확인 할수 있다. |
|
하드웨어 탭을 누른다. 장치 관리자 클릭. |
왼쪽 화면에서 노란색 물음표가 없어야 한다. 만약 노란색 물음표가 나온다면 드라이버 설정이 안 된 경우이므로 컴퓨터를 구입할 때 함께 왔던 CD가 있다면 CD를 넣고 설치 한다. |
'■ "컴"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sns란? (0) | 2014.12.22 |
---|---|
[스크랩] 플립앨범 (0) | 2014.12.22 |
[스크랩]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차이점 (0) | 2014.12.22 |
[스크랩] 바탕화면에 휴지통 복원하기 (0) | 2014.12.22 |
[스크랩] 윈도우XP 포멧과 설치하기. (0) | 2014.12.22 |